세계 헌혈자의 날(6월 14일)을 앞두고 해군 2함대사령부 소속 장진환 소령이 13일 400번째 헌혈 기록을 세웠다. 국내에서 400번 이상 헌혈한 사람은 240여명에 불과하다.
장 소령은 고등학생이던 1998년 백혈병에 걸린 후배를 돕기 위해 처음 헌혈한 뒤 25년 동안 꾸준히 헌혈을 해왔다. 2005년 100회, 2010년 200회, 2017년 300회를 넘어섰다. 헌혈증서는 군과 사회에 기부했다. 2007년에는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학생을 돕기 위해 인천교육청에, 2010년에는 연평도 포격전 당시 다친 해병 전우를 위해 군에, 2017년에는 소아암 환자를 위해 부산대병원에 헌혈증 100장을 쾌척했다.
장 소령은 “헌혈을 처음 할 때 사회에 봉사하는 삶을 살겠노라고 다짐했다”며 “앞으로도 이를 잊지 않고 군인으로서 국가에 헌신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겠다”고 다짐했다.
해군 3함대사령부 강대승 상사는 이날 300번째 헌혈 기록을 세워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최고명예대장’을 받았다. 강 상사는 고교 시절인 1996년 위급 환자에게 혈액이 부족하다는 광고를 보고 헌혈을 시작했다. 해군 군수사령부 김한준 상사는 256회 헌혈을 한 공로로 14일 경남 창원시장 표창을 받는다.
해군은 “이들 3명이 지금까지 모두 42만 5000㏄나 되는 소중한 피를 이웃들과 나눴다”며 “사람 한 명의 몸속에 있는 혈액량의 약 85배나 된다”고 설명했다. 세계헌혈자의 날은 헌혈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04년 국제적십자사연맹, 세계보건기구 등이 제정했다.
장 소령은 고등학생이던 1998년 백혈병에 걸린 후배를 돕기 위해 처음 헌혈한 뒤 25년 동안 꾸준히 헌혈을 해왔다. 2005년 100회, 2010년 200회, 2017년 300회를 넘어섰다. 헌혈증서는 군과 사회에 기부했다. 2007년에는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학생을 돕기 위해 인천교육청에, 2010년에는 연평도 포격전 당시 다친 해병 전우를 위해 군에, 2017년에는 소아암 환자를 위해 부산대병원에 헌혈증 100장을 쾌척했다.
장 소령은 “헌혈을 처음 할 때 사회에 봉사하는 삶을 살겠노라고 다짐했다”며 “앞으로도 이를 잊지 않고 군인으로서 국가에 헌신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겠다”고 다짐했다.
해군 3함대사령부 강대승 상사는 이날 300번째 헌혈 기록을 세워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최고명예대장’을 받았다. 강 상사는 고교 시절인 1996년 위급 환자에게 혈액이 부족하다는 광고를 보고 헌혈을 시작했다. 해군 군수사령부 김한준 상사는 256회 헌혈을 한 공로로 14일 경남 창원시장 표창을 받는다.
해군은 “이들 3명이 지금까지 모두 42만 5000㏄나 되는 소중한 피를 이웃들과 나눴다”며 “사람 한 명의 몸속에 있는 혈액량의 약 85배나 된다”고 설명했다. 세계헌혈자의 날은 헌혈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04년 국제적십자사연맹, 세계보건기구 등이 제정했다.
해군 제2함대사령부 장진환(가운데) 소령이 13일 경기 평택시 헌혈의 집에서 400번째 헌혈을 한 뒤 의료진한테서 축하를 받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