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이달 중 부동산 공급 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라고 1일 밝혔다. 금융 부실이 확산될 수 있다면서 일각에서 제기하는 ‘9월 위기설’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건 등이 있다보니 ‘부동산 공급이 당초 전망처럼 되겠나’하는 우려가 있다. 부동산이 차질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9월 중에 부동산 공급 대책을 마련해서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수석은 이어 “민간 부분 공급이 여러 가지 위축됐다. (위축) 요인이 있을 수 있어서 이 부분을 어떻게 풀어서 공급을 촉진할지 고민이 있다”면서 “공공 부문 공급은 보완할 방안을 2가지로 나눠서 발표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최 수석은 “9월 위기설은 없다”면서 “큰 틀에서 위기라고 할 상황이 절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경기 전망에 대해 “8~9월 이후부터는 상저하고 전망이 지표로 나타날 걸로 생각되고 9~10월부터는 회복 흐름이 확대될 걸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11개월동안 수출 마이너스였는데 조심스럽지만 10월 정도부터는 종지부 찍을 수 있는 날이 되기를 전망도, 기대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3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순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최 수석은 이어 “민간 부분 공급이 여러 가지 위축됐다. (위축) 요인이 있을 수 있어서 이 부분을 어떻게 풀어서 공급을 촉진할지 고민이 있다”면서 “공공 부문 공급은 보완할 방안을 2가지로 나눠서 발표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최 수석은 “9월 위기설은 없다”면서 “큰 틀에서 위기라고 할 상황이 절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경기 전망에 대해 “8~9월 이후부터는 상저하고 전망이 지표로 나타날 걸로 생각되고 9~10월부터는 회복 흐름이 확대될 걸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11개월동안 수출 마이너스였는데 조심스럽지만 10월 정도부터는 종지부 찍을 수 있는 날이 되기를 전망도, 기대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