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 시각 우려에 전시장만 참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으로 ‘시진핑 효과’를 기대했던 재계의 바람이 살짝 꺾이게 됐다. 원래 예정됐던 지방 사업장 방문이 취소되고 취재까지 제한되면서 홍보 효과조차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3일 재계에 따르면 이날 방한한 시 주석은 삼성전자 기흥과 수원 사업장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돌연 취소했다. 대신 시 주석은 4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대한상공회의소와 코트라 주최로 열리는 ‘한·중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한 뒤 호텔 내 마련된 삼성전자와 LG전자 특별 전시장을 잠시 둘러보기로 했다.
재계 관계자는 “국내 여론이 시 주석의 삼성전자 사업장 방문에 지나치게 관심을 보여 중국 정부에서 특정 기업에 특혜를 주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조심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2005년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을 방문했고 2007년 중국 쑤저우에 있는 삼성전자 공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항간에서는 시 주석의 일정 변경이 북한을 의식한 것이란 얘기도 있다. 시 주석의 방한이 전 세계인의 관심으로 부상하면서 한국에서의 요란한 행보가 자칫 북한을 자극할까 눈치를 본다는 것이다. 대한상의가 시 주석 방한 일주일 전부터 출입기자를 대상으로 한·중 비즈니스 포럼 취재 출입증 신청을 받았으나 방한 직전인 지난 2일 오후 갑작스레 취재 불가를 통보, 이 같은 ‘설’(說)을 키웠다. 이 포럼에는 시 주석이 대동한 중국 재계 인사 250여명과 박용만(두산그룹 회장) 대한상의 회장과 오영호 코트라 사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한국 재계 인사 170여명이 총출동, ‘빅 이벤트’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한·중 정부 간 논의에 따라 청와대 풀기자단만 취재가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7-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