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학봉 영국 주재 북한대사는 13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둘러싼 건강 이상설을 부인했다.
현 대사는 이와 관련 김정은 제1위원장은 “건강한 상태”이며 “이런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이메일을 통해 밝혀왔다고 이날 BBC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현 대사는 그러나 김 제1위원장의 은둔이 한 달 넘게 계속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더 밝히지 않았다.
방송에 따르면 현 대사는 이메일에서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 씨가 수용된 곳은 강제노동 수용소가 아니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그는 “북한에서는 노동을 통해 범법자들을 교화시키는 시설을 두고 있다”며 “서구 언론이 이를 교화소가 아닌 강제노동 수용소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2012년 11월 방북했다가 억류된 케네스 배는 작년 4월 ‘국가전복음모죄’로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현 대사는 반(反) 인권 문제로 북한의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려는 유엔 결의안 채택 움직임에 대해서도 반감을 드러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인권 관련) 의혹은 미국의 주도 아래 날조된 내용”이라며 “북한에는 정치범을 위한 교화소나 강제수용소는 없다”고 반박했다.
방송은 현 대사의 이번 이메일이 유엔의 대북인권 결의안 채택을 의식한 대응이거나 북한 내 정책 변화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면서 진의가 무엇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현 대사는 이와 관련 김정은 제1위원장은 “건강한 상태”이며 “이런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이메일을 통해 밝혀왔다고 이날 BBC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현 대사는 그러나 김 제1위원장의 은둔이 한 달 넘게 계속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더 밝히지 않았다.
방송에 따르면 현 대사는 이메일에서 북한에 억류 중인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 씨가 수용된 곳은 강제노동 수용소가 아니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그는 “북한에서는 노동을 통해 범법자들을 교화시키는 시설을 두고 있다”며 “서구 언론이 이를 교화소가 아닌 강제노동 수용소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2012년 11월 방북했다가 억류된 케네스 배는 작년 4월 ‘국가전복음모죄’로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현 대사는 반(反) 인권 문제로 북한의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려는 유엔 결의안 채택 움직임에 대해서도 반감을 드러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인권 관련) 의혹은 미국의 주도 아래 날조된 내용”이라며 “북한에는 정치범을 위한 교화소나 강제수용소는 없다”고 반박했다.
방송은 현 대사의 이번 이메일이 유엔의 대북인권 결의안 채택을 의식한 대응이거나 북한 내 정책 변화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면서 진의가 무엇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