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재외투표소 현장 가보니
유권자 14.2% 늘어 25만 8254명“계엄·탄핵 지켜보며 너무 놀랐다”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총영사관에 마련된 제21대 대통령 선거 재외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2025.5.21
연합뉴스
연합뉴스
“피츠버그에서 4시간 운전해 한 표를 행사하러 왔습니다. 준비된 대통령이 뽑혀 적어도 향후 10년은 한국을 걱정 없는 나라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미국 피츠버그 교민 성진옥씨)
제21대 대선 재외투표가 20일(현지시간) 전 세계 118개국 223개 투표소에서 개시됐다. 재외투표는 사전에 신청한 유권자만 참여할 수 있다. 전체 유권자는 25만 8254명이다. 20대 대선과 비교하면 유권자가 14.2% 늘었다.
미국 수도 워싱턴DC 인근의 코리안커뮤니티센터에 마련된 재외투표소에는 오전 8시부터 유권자들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졌다. 이곳은 워싱턴DC와 버지니아, 메릴랜드, 웨스트버지니아주를 관할하며 4272명이 재외투표자로 등록했다.
주부 성진옥(47)씨는 피츠버그 한인회장인 남편 장준호(48·드렉설 의대 교수)씨와 함께 투표소를 찾았다. 성씨는 “해외에서 18년을 살았지만 재외선거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계엄과 탄핵 사태를 해외에서 지켜보면서 너무 놀랐고 반드시 투표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한국에서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20대 휴학생 정인수씨는 “영어 연수차 출국하기 직전에 계엄 사건이 터지며 많이 힘들었다”면서 “이번 대선에서 (정치적 의사 표현을) 더 확실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도 같은 날 투표가 시작된 가운데 가족 단위 유권자가 눈에 많이 띄었다. 도쿄 미나토구 재일본대한민국민단 회관 재외투표소를 찾은 20년 차 일본 거주민 김민수(40)씨는 “선거 때마다 교민들은 한일 관계가 악화될까 불안하다”며 “양국 관계가 악화하지 않도록 (차기 대통령이) 잘해 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직장인 정민수(31)씨는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살고 싶기 때문에 좀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대통령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투표용지는 교부받은 봉투에 넣고 스티커를 붙여 밀봉한다. 투표 시간이 끝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와 참관인 앞에서 투표함을 열어 투표봉투 숫자와 실제 투표자 숫자를 비교한다. 봉투들은 금고에 보관됐다가 선거가 완료되면 외교행낭으로 봉인돼 한국으로 보내진다.
2025-05-2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