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이 16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국장급 협의를 여는 데 대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나눔의 집’ 측은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미온적이었던 우리 정부가 일본과 회담을 하는 데 대해 발전적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요식행위로 그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정부가 의지가 있다면 먼저 피해 할머니들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물어봤어야 하는 데 그러한 절차가 없었다”며 “할머니들은 반신반의하고 계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쪽 채널을 가동한 결과 이번 회담의 의제가 위반부 문제 외에도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형식적으로 여는 느낌이 있고 성과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나눔의 집 측은 그동안 고노(河野)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간접 인정하는데 그쳤고 총리가 아닌 관방장관 명의로 발표됐다며 더 진전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법적 배상 등을 요구해왔다.
연합뉴스
’어서 웃음짓는 그날이 오길’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 참가한 길원옥(오른쪽) 할머니가 참가자들을 향해 손을 흔들며 미소를 짓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미온적이었던 우리 정부가 일본과 회담을 하는 데 대해 발전적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요식행위로 그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정부가 의지가 있다면 먼저 피해 할머니들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물어봤어야 하는 데 그러한 절차가 없었다”며 “할머니들은 반신반의하고 계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쪽 채널을 가동한 결과 이번 회담의 의제가 위반부 문제 외에도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형식적으로 여는 느낌이 있고 성과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나눔의 집 측은 그동안 고노(河野)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간접 인정하는데 그쳤고 총리가 아닌 관방장관 명의로 발표됐다며 더 진전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법적 배상 등을 요구해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