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발생 어렵다” 2달만에 규모 5.8…정부, 예측도 대응도 안일했다

“대지진 발생 어렵다” 2달만에 규모 5.8…정부, 예측도 대응도 안일했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9-13 11:07
수정 2016-09-13 1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경주 규모 5.8 지진> 지진 원인 설명하는 지진센터장
<경주 규모 5.8 지진> 지진 원인 설명하는 지진센터장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이 12일 지질연 지진종합상황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날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 지진의 원인과 영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6.9.12.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7월 5일 울산 동쪽 해상에서 규모 5.0 지진이 발생한 뒤 “한반도에서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라고 밝혔지만, 불과 2달 만에 규모 5.8의 역대 가강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들어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가 지진 예측·대응 시스템을 안일하게 운영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2일 오후 7시 44분과 8시 32분에 경북 경주에서 각각 규모 5.1, 5.8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5.8의 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역대 가장 강력한 규모다. 이번 두 차례 지진으로 경남, 경북, 충남, 충북, 대전, 제주, 부산, 강원, 서울, 세종 등 전국 곳곳에서 강한 진동이 감지됐다.

지난 7월 5일에도 울산 동쪽 52㎞ 해상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당시 정부는 대형 지진의 전조현상은 아니며 한반도에서 대형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국책연구원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헌철 지진센터장은 당시 언론을 통해 “국내에서 규모 5.5 이하의 지진은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지만, 대형 지진은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라면서 “단층들이 서로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하지만 2달가량 지난 지난 12일 규모 5.8의 강진이 해상이 아닌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했다.

지진 전문가들에 따르면 규모가 0.2씩 커질 때마다 지진의 에너지는 2배가 된다. 지진센터에서 기준으로 설정했던 규모 5.5 지진과 비교하면 이번 경주에서 발생하 지진의 에너지가 2.8배나 되는 셈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대형 지진은 일반적으로 규모 6.0 이상을 말하지만 상대적인 개념”이라면서 “일본에서는 규모 5.8이라면 얼마 안 되는 지진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형 지진”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규모 5.8 지진> 지진에 무너진 담벼락
<규모 5.8 지진> 지진에 무너진 담벼락 13일 오전 경북 경주 내남면 부지리의 한 주택에서 집주인이 전날 강진으로 무너진 담벼락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진센터는 이번 지진을 예측하지 못했다.

지 센터장은 전날 지진 발생 이후 “5.5 규모 이하 지진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봤는데, 5.8은 상당히 큰 규모여서 당황스럽다”면서 “다만 일본에서도 대지진 이후 과거 지진이 나지 않던 지역까지 지진이 생기는 특성을 보여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에서 규모 6.5 이상의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했다.

그는 “일본 국토는 전역에 걸쳐 단층이 길게 이어진 사례가 많아 깨질 우려가 있지만, 우리나라 단층은 끊어져 있어 대형 지진 가능성은 작다”면서 “이번 5.1 규모 지진이 일어난 단층과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단층도 서로 다른 분절 단층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고윤화 기상청장도 13일 국회에서 열린 지진대책 당정 협의회에 참석해 “(앞으로) 5.8에서 6.0 이상 심지어 6.0 초반을 넘어가는 것까지는 언제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한반도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지진이 발생한 이유가 동일본 대지진으로 한반도에 응력 불균형이 생겨서인데, 누적된 응력 불균형 현상이 언젠가는 풀려야 한다는 설명이다.

홍 교수는 “우리나라는 수백년에 한번씩 큰 지진이 발생하는데 오랫동안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지층의) 힘이 누적됐다”면서 “예를 들어 어떤 지역은 90까지 힘이 찼고, 어떤 지역은 80까지 밖에 힘이 안찼는데 90의 지역에서 먼저 (지진이) 나고 80의 지역에서 나중에 (지진이) 나야 하지만 한꺼번에 20의 힘이 쌓여서 동시에 (지진이) 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면 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되지만 현재 국내 건축물의 내진율은 30%대에 그치고 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