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들 “고장난 안전띠 수두룩하다”… 업체 “배차 시간에 쫓겨 점검 소홀”
‘차량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된 가운데 일부 광역버스의 좌석에 고장 난 안전띠가 그대로 방치돼 승객들이 “안전띠를 매려 해도 맬 수가 없다”며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서울 강남구와 경기 화성 동탄을 오가는 1551번 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 이모(30)씨, 경기 가평 대성리와 서울 잠실 사이를 8002번 버스를 타고 통근하는 직장인 서모(29)씨는 “광역버스를 타 본 사람이라면 고장 난 안전띠가 많다는 것을 누구나 안다”고 입을 모았다. 주로 안전띠 버클이 분리되지 않거나, 연결해도 고정되지 않고, 버클과 띠가 아예 분리돼 있는 사례들이었다.
수도권교통본부의 광역버스 유출입 노선 현황 7월 자료에 따르면 현재 광역버스는 M버스(31개 노선) 398대와 직행 좌석버스(206개 노선) 2409대가 운행 중이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과 시행령은 광역버스의 차령(내구연한)을 기본 9년으로 하고, 6개월마다 검사를 받아 최대 2년까지 연장 운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안전띠도 점검 대상에는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점검은 허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육안으로 안전띠 유무와 외형상 파손 여부만 확인할 뿐 제대로 채워지는지는 꼼꼼하게 확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운수 업체 관계자도 “버스 승객이 많다 보니 안전띠 파손이 잦은데, 차량이 움직이는 데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운전기사의 배차 간격도 짧아 점검과 교체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하승우 교수는 “일부 운전기사의 안전벨트 관리 소홀과 안전불감증은 승객을 안전하게 운송하고 보호할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
2018-12-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