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 : 책으로 보는 마음 이야기>‘라이언킹’에서 배우는 트라우마 극복법
심바, 아버지 죽음 이후 현실로부터 도피
티몬·품바 만나 ‘하쿠나마타타’ 교훈 얻어
심바에게 ‘회복 기간’ 준 것이 극적 묘미
“과거는 도망칠 수도, 뭔가 배울 수 있는 것”
#편집자 주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신가요? ‘오늘하루 마음읽기’에서는 날씨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우리 마음속 이야기를 젊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4명이 친절하게 읽어 드립니다. 두번째 회는 트라우마를 뛰어넘어 어른이 된다는 의미를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풀어 드립니다.
어른이란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자라는 것은 신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성장한다’는 건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는 나이를 먹어가며 다양한 사건을 겪고 수많은 사람을 만난다. 그 과정에서 아프고 사랑하고 배우며 내적으로 성장한다.
성장한다는 것은 한편으로 ‘죄책감 또는 두려움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동화이자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큰 인기를 얻은 ‘라이언 킹(The Lion King, 1994)’은 어린 사자였던 주인공 심바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이야기를 통해 내적 성장의 과정을 보여준다. 받아들이기 힘든 거대한 사건을 겪은 후 도망치고, 여러 인물과의 관계를 통해 천천히 일상을 회복하며 결국 자신의 트라우마를 마주하는 이야기 구조는 동화적 상상력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여러 등장인물의 역할과 주인공 심바의 생각 변화를 통해 우리는 삶의 힌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네 탓에 아빠 죽어” 죄책감 심어준 삼촌 스카어린 심바는 ‘프라이드 랜드’를 다스리는 아버지 무파사에게 세상이 어떻게 이뤄져 있는지,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배운다. 무파사는 보호자이며 교육자로서 어린 심바에게 하나의 세상 그 자체인 존재이다. 하지만 심바가 살아가는 방식을 채 익히기도 전에 불행한 사건이 벌어진다. 왕좌를 향한 욕심을 조절하지 못해 삐뚤어진 무파사의 동생 스카 탓에 무파사가 죽고 만 것이다. 스카의 계략으로 무파사가 죽은 뒤 스카는 어린 심바에게 “네 탓에 무파사가 죽었다”며 죄책감을 심어준다. 어린 심바는 아버지의 죽음을 자신의 탓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죄책감과 두려움에 못 이겨 현실을 등진 채 프라이드 랜드에서 도망친다.
우리 주변에서도 심바와 같은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사람들은 감당할 수 없는 사건이 터지면 제대로 마주하지 못해 현실에서 도망친다. 물론 어떤 사건이냐에 따라 심각성이 다르겠지만, 사건 그 자체보다 개인이 느끼는 감정적 동요가 중요하다. 견딜 수 없는 트라우마라면 도망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다. 하지만 도망쳤기 때문에 트라우마가 더욱 가중된다면 문제다.
●밤하늘 별을 본 세 친구, 경험과 기억에 따라 다른 걸 떠올리다미어캣인 티몬과 흑멧돼지인 품바는 지쳐 쓰러진 심바를 발견하고 회복을 돕는다. 티몬과 품바는 곧잘 심바를 향해 ‘하쿠나마타타(Hakuna matata)’를 외친다. 스와힐리어로 ‘문제없다’라는 의미인데, 애니메이션에는 ‘근심 걱정 모두 떨쳐버려’라는 뜻으로 쓰였다. 심바는 이를 통해 위로받고, 회복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심바가 느끼는 하쿠나마타타는 티몬과 품바가 느끼는 하쿠나마타타와 차이가 있다. 티몬과 품바는 진정한 자유로움을 느끼고 노래했지만 심바는 그렇지 못하다. 어쩌지 못하는 과거로부터의 도피라는 측면이 숨겨져 있어서다. 다시 말하지만 도피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받아들이지 못할 과거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힘을 회복할 여유가 필요하다. 심바가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인생의 비극과 맞닥뜨린 뒤 상처를 곧바로 마주하는 대신 회복의 시간을 가진 것. 극으로서 ‘라이언킹’의 영리함과 현명함이 바로 여기에 있다.
티몬과 품바는 심바에게 회복과 여유를 알려주는 것 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쿠나마타타의 삶을 통해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던 셋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본다. 티몬은 별이 검은색 천에 반딧불에 박혀 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품바는 별이 가스 덩어리라는 식견을 말한다. 그리고 심바는 아버지 무파사가 해준 말을 떠올린다. 무파사는 어린 심바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심바, 별들을 보렴. 하늘에서는 위대한 선왕들이 우릴 지켜보고 있단다. 혼자라고 느껴질 때면 널 지켜보는 선왕들을 생각해. 늘 인도해주실 거야. 그리고 나도 있을 거야.”
이 장면은 심바가 아버지 무파사를, 죄책감을 불러일으키는 존재가 아닌 자신을 지켜보는 존재로 떠올렸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우리는 같은 별을 보더라도 각자 다른 것을 떠올릴 수 있다. 각자의 마음에 담긴 경험과 기억이 다르기 때문이다.
●라피키의 조언과 마주한 트라우마, 그리고 극복어린 시절 친구였던 날라를 우연히 만나고 즐겁게 지내면서도 심바는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돌이킬 수 없는 과거가 만들어 낸 죄책감과 두려움에 여전히 갇혀있기 때문이다. 날라는 행복했던 기억을 상징하는 듯하다. 행복했던 기억은 우리가 현재를 살아갈 힘을 주지만, 근본적인 트라우마를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심바에게 힘을 주는 것은 날라가 아닌 라피키이다. 라피키는 무파사가 다스리던 왕국의 수상으로 지혜로운 조언을 해주며 무파사와 심바를 이끌어주는 존재다. 어른이 된 심바는 자신이 너무 오랫동안 도망쳤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뭘 해야 하는지도 알고 있지만, 아픈 과거와 맞서야 한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런 심바에게 라피키는 이렇게 말한다.
“과거는 너를 아프게 할 수 있지. 그런데 그 과거는 말이야. 도망칠 수도 있고, 뭔가를 배울 수도 있는 거지.”
심바는 이 말을 바탕으로 용기를 내 트라우마로 상징되는 인물인 스카를 마주한다. 그리고 당시에 스카가 아버지 무파사를 절벽에 떨어뜨리는 모습을 떠올리고 과거를 극복하게 된다. ‘라이언 킹’에서 우리가 눈여겨볼 것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과정이다. 충분한 회복 기간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는 개인의 아픔을 보듬고 삶을 바라보는 태도를 바꾸게 한다. 어린 사자였던 심바는 어른 사자가 된 후에도 트라우마에 갇혀 있었지만, 내적 성장을 통해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게 된다.
“삶을 살다 보면 알게 될 거야. 이해할 수 없는 일들도 많이 일어난다는 걸. 그리고 우리가 아는 단 한 가지는 바로 이거지. 모든 건 계획대로만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
필자인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현재 광화문숲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을 맡고 있다. 현직 의사들이 직접 글을 쓰는 정신의학신문을 창간했으며 마음 아픈 사람들이 주저없이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없애려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가 있다.
심바, 아버지 죽음 이후 현실로부터 도피
티몬·품바 만나 ‘하쿠나마타타’ 교훈 얻어
심바에게 ‘회복 기간’ 준 것이 극적 묘미
“과거는 도망칠 수도, 뭔가 배울 수 있는 것”
프라이드랜드의 주술사인 원숭이 라피키가 어린 심바를 들어보이는 모습.
디즈니 제공
디즈니 제공
어른이란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자라는 것은 신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성장한다’는 건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는 나이를 먹어가며 다양한 사건을 겪고 수많은 사람을 만난다. 그 과정에서 아프고 사랑하고 배우며 내적으로 성장한다.
성장한다는 것은 한편으로 ‘죄책감 또는 두려움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동화이자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큰 인기를 얻은 ‘라이언 킹(The Lion King, 1994)’은 어린 사자였던 주인공 심바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이야기를 통해 내적 성장의 과정을 보여준다. 받아들이기 힘든 거대한 사건을 겪은 후 도망치고, 여러 인물과의 관계를 통해 천천히 일상을 회복하며 결국 자신의 트라우마를 마주하는 이야기 구조는 동화적 상상력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여러 등장인물의 역할과 주인공 심바의 생각 변화를 통해 우리는 삶의 힌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네 탓에 아빠 죽어” 죄책감 심어준 삼촌 스카어린 심바는 ‘프라이드 랜드’를 다스리는 아버지 무파사에게 세상이 어떻게 이뤄져 있는지,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배운다. 무파사는 보호자이며 교육자로서 어린 심바에게 하나의 세상 그 자체인 존재이다. 하지만 심바가 살아가는 방식을 채 익히기도 전에 불행한 사건이 벌어진다. 왕좌를 향한 욕심을 조절하지 못해 삐뚤어진 무파사의 동생 스카 탓에 무파사가 죽고 만 것이다. 스카의 계략으로 무파사가 죽은 뒤 스카는 어린 심바에게 “네 탓에 무파사가 죽었다”며 죄책감을 심어준다. 어린 심바는 아버지의 죽음을 자신의 탓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죄책감과 두려움에 못 이겨 현실을 등진 채 프라이드 랜드에서 도망친다.
심바에게 아버지의 죽음을 탓하며 죄책감을 심어준 삼촌 스카.
디즈니 제공
디즈니 제공
●밤하늘 별을 본 세 친구, 경험과 기억에 따라 다른 걸 떠올리다미어캣인 티몬과 흑멧돼지인 품바는 지쳐 쓰러진 심바를 발견하고 회복을 돕는다. 티몬과 품바는 곧잘 심바를 향해 ‘하쿠나마타타(Hakuna matata)’를 외친다. 스와힐리어로 ‘문제없다’라는 의미인데, 애니메이션에는 ‘근심 걱정 모두 떨쳐버려’라는 뜻으로 쓰였다. 심바는 이를 통해 위로받고, 회복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심바가 느끼는 하쿠나마타타는 티몬과 품바가 느끼는 하쿠나마타타와 차이가 있다. 티몬과 품바는 진정한 자유로움을 느끼고 노래했지만 심바는 그렇지 못하다. 어쩌지 못하는 과거로부터의 도피라는 측면이 숨겨져 있어서다. 다시 말하지만 도피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받아들이지 못할 과거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힘을 회복할 여유가 필요하다. 심바가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인생의 비극과 맞닥뜨린 뒤 상처를 곧바로 마주하는 대신 회복의 시간을 가진 것. 극으로서 ‘라이언킹’의 영리함과 현명함이 바로 여기에 있다.
티몬과 품바는 심바에게 회복과 여유를 알려주는 것 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쿠나마타타의 삶을 통해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던 셋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본다. 티몬은 별이 검은색 천에 반딧불에 박혀 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며, 품바는 별이 가스 덩어리라는 식견을 말한다. 그리고 심바는 아버지 무파사가 해준 말을 떠올린다. 무파사는 어린 심바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심바, 별들을 보렴. 하늘에서는 위대한 선왕들이 우릴 지켜보고 있단다. 혼자라고 느껴질 때면 널 지켜보는 선왕들을 생각해. 늘 인도해주실 거야. 그리고 나도 있을 거야.”
미어캣인 티몬과 흑멧돼지 품바가 심바와 함께 걷는 모습. ‘하쿠나 마타타’를 외치는 티몬과 품바는 심바가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도록 돕는데 큰 역할을 한다.
디즈니 제공
디즈니 제공
●라피키의 조언과 마주한 트라우마, 그리고 극복어린 시절 친구였던 날라를 우연히 만나고 즐겁게 지내면서도 심바는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돌이킬 수 없는 과거가 만들어 낸 죄책감과 두려움에 여전히 갇혀있기 때문이다. 날라는 행복했던 기억을 상징하는 듯하다. 행복했던 기억은 우리가 현재를 살아갈 힘을 주지만, 근본적인 트라우마를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심바에게 힘을 주는 것은 날라가 아닌 라피키이다. 라피키는 무파사가 다스리던 왕국의 수상으로 지혜로운 조언을 해주며 무파사와 심바를 이끌어주는 존재다. 어른이 된 심바는 자신이 너무 오랫동안 도망쳤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뭘 해야 하는지도 알고 있지만, 아픈 과거와 맞서야 한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런 심바에게 라피키는 이렇게 말한다.
“과거는 너를 아프게 할 수 있지. 그런데 그 과거는 말이야. 도망칠 수도 있고, 뭔가를 배울 수도 있는 거지.”
심바는 이 말을 바탕으로 용기를 내 트라우마로 상징되는 인물인 스카를 마주한다. 그리고 당시에 스카가 아버지 무파사를 절벽에 떨어뜨리는 모습을 떠올리고 과거를 극복하게 된다. ‘라이언 킹’에서 우리가 눈여겨볼 것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과정이다. 충분한 회복 기간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는 개인의 아픔을 보듬고 삶을 바라보는 태도를 바꾸게 한다. 어린 사자였던 심바는 어른 사자가 된 후에도 트라우마에 갇혀 있었지만, 내적 성장을 통해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게 된다.
“삶을 살다 보면 알게 될 거야. 이해할 수 없는 일들도 많이 일어난다는 걸. 그리고 우리가 아는 단 한 가지는 바로 이거지. 모든 건 계획대로만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
필자인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현재 광화문숲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을 맡고 있다. 현직 의사들이 직접 글을 쓰는 정신의학신문을 창간했으며 마음 아픈 사람들이 주저없이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없애려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가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