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대 총수 지분율은 1%선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의 전체 자본금 중 총수 일가와 임원, 계열사 등이 보유한 지분율이 여전히 절반을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된 63개사의 주식 소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수가 있는 대기업 40개사의 내부지분율이 54.7%라고 10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보면 계열사가 48.3%이고 총수 일가 4.2%, 비영리법인·임원 2.2% 등의 순이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지난해 54.8%에 비해 0.1% 포인트 소폭 하락했다. 2010년 50.5%에서 2011년 54.2%, 2012년 56.1% 등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향 추세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공기업 등 총수가 없는 집단을 포함한 전체 대기업집단 63개의 내부지분율은 28.7%로 지난해(62개·31.7%)보다 3.0% 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내분지분율이 높은 STX(56.5%)와 동양(46.9%), 웅진(61.5%), 한국투자금융(56.3%)이 경영 악화 등의 이유로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2년 연속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된 58개사의 올해 내부지분율은 31.0%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총수가 있는 상위 10개 대기업집단의 경우 계열사 지분율이 2012년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내부지분율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총수가 있는 상위 10개 대기업집단의 총수 지분율은 2000년 이후 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전체 63개 대기업집단 중 29개 집단은 147개의 금융·보험사를 갖고 있다. 전체 대기업집단 소속 1677개사 중 상장사는 246개사(14.7%)다. 상장사들의 자본금 규모는 63조원 정도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4-07-1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