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성수품 평균 물가 지난해 대비 6.4% 감소
닭·명태·오징어·대추 등 주요 품목 불안 여전
지난 추석 ‘5%대’ 고공 물가 기저효과도 한 몫
“할인 행사 등 총력 대응···27일부터 숙박쿠폰”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1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범부처 지역 투자 지원 TF 제1차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제공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1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범부처 지역투자 지원 전담반 제1차 회의’를 열고 추석 민생 안정 대책 추진 상황 과 범부처 지역투자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 7일부터 20일까지 추석 전 3주간 추석 20대 성수품(배추·무·양파·마늘·감자·사과·배·돼지·한우·닭·계란·밤·대추·잣·참조기·명태·오징어·갈치·고등어·마른멸치)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대비 6.4% 감소한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당초 정부 목표치였던 5% 이상의 하락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폐사율이 높았던 닭고기(8.5%)나 어획량이 부진한 참조기(8.7%), 명태(17.3%), 고등어(6.2%) 등 수산물 물가는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명태이 경우 러시아산 명태의 어획량이 저조해 수급이 불안정하고, 고등어는 아직 본격적인 어황기가 아닌 탓에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일정 크기 이상의 고등어 어획이 부진한 상태다. 장마와 폭염으로 작황이 안 좋은 대추(-0.8%)와 수온 상승으로 서식지가 이동한 오징어(0.0%) 등의 가격 역시 불안정한 상태다.
여기에 지난해 추석 연휴였던 8~9월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두 달 내내 5%를 넘겨 고공행진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의 주요 성수품 물가 하락에 기저효과 영향이 컸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소비자 입장에선 지난해 같은 시기 급격히 올랐던 물가 탓에 올해 다시 5%가 내려도 물가가 안정됐다는 체감을 하기 어려운 것이다.
기재부는 추석 연휴까지 남은 기간 동안 잔여 공급물량을 방출하고 할인 지원을 지속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관세 없이 수입해오는 할당관세를 적용한 닭고기는 잔여물량 1만톤을 10월 초까지 모두 수입하고 돼지고기의 할당관세 잔여 물량인 1만 4000톤 역시 추석 전까지 공급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전국 145개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구매액의 30~40%를 환급해주는 행사를 21일부터 시작해 추석 전까지 진행한다”며 “27일부터 숙박쿠폰 30만 장을 발급하는 등 내수 진작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