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P마다 가계 이자 3조 늘어
자영업·취약계층 빚 부담 눈덩이
대선 이후 커진 ‘집값 상승’ 기대감
지난 3월 29일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상가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매 및 전세 매물 시세가 게시돼 있다. 2022.3.29 뉴스1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은행 등 금융사의 조달 비용이 늘고,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도 오른다. 한은은 지난해 9월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인상되면 연간 가계의 이자 부담이 3조 2000억원 정도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의 이자 부담은 3조, 기업의 이자 부담은 2조 7000억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지난해 8월부터 9개월 동안 기준금리가 1.25% 포인트 오르면서 대출자 1인당 평균 이자액은 289만 6000원에서 370만 2000원으로 80만 5000원 정도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 이자액은 17조원 정도 불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개인사업자 대출이 포함된 중소기업대출 등 기업대출까지 합산하면 늘어나는 이자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가 앞으로 2~3차례 더 올라 연말이면 연 2.25~2.50%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 과정에서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 총재는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출 등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특히 자영업자가 상환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지지 않도록 관련 대책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2-05-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