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반도체 부족, 단기간 해결 어려워
다음달 K-배터리 전략 발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탈원전 정책 수정 가능성,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여부와 관련, “정부는 원전 안전 부분이 담보되기 전까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신규 원전 건설 중단 정책을 바꾸려면 사용후 핵연료에 대한 합의, 진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는데 단시일내 이런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소형 원전(SMR) 건설은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문 장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해 차세대(4세대) SMR 기술 확보 노력을 하고, 올 가을쯤 개량형 소형 원전(i-SMR)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사태와 관련해서는 “안타깝게도 차량용 반도체 부족 문제는 단시일 안에 해결되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털어놨다. 그는 “파운드리(반도체 설계를 넘겨받아 생산하는 업체) 생산능력이나 세계적인 수급 불균형을 볼 때 해법이 보이지 않아 산업부도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현대차와 삼성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 협력했기 때문에 진전이 있을 것잇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등 핵심전략산업 공급망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부분은 초격차를 더욱 늘리고, 쫓아가는 부분은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다음달 ‘K-배터리 전략’을 발표하고, 연말까지 핵심산업 브레인 확보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수출 확대도 강조했다. 문 장관은 “2018년 최대 수출을 기록했는데 올해 그 기록을 경신하도록 지원하겠다”며 “수출 물류 적체 해소, 원자재 수급 불안 해결, 통상환경 변화 대응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비수도권 산업 균형발전을 위해 점 단위가 아닌 선·면으로 이어지는 정책을 펴겠다고 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