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되면 5번째 군출신 대통령…무슬림형제단과 갈등 커질 듯
이집트 대선에서 군부의 최고 실세인 압델 파타 엘시시(60) 국방장관의 당선이 유력시 됨에 따라 이집트가 사실상의 ‘군부 통치 시대’로 회귀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실질적 대선 경쟁자가 없는 상황이나 여론의 분위기를 보나 그의 당선은 ‘떼 놓은 당상’이라는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일관된 전망이다.
엘시시가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이는 이집트 최대 권력 집단인 군부의 재집권으로 해석된다.
이집트는 엘시시가 실제 대통령에 오른다면 1952년 공화국 체제 출범 이후 5번째 군 출신 대통령을 배출하게 된다. 군부가 핵심 권력을 거머쥔 지난 60년간의 정치구도로 복귀하는 것이다.
군부의 이익을 수호할 권위주의적 지도자가 또다시 등극하게 됐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왕정에서 공화국으로 바뀌고 나서 이집트의 역대 정식 대통령 6명 가운데 5명이 군 출신이다. 초대 대통령으로 장군 출신인 무함마드 나기브(1953~1954 집권)와 가말 압델 나세르(1956~1970 집권), 안와르 사다트(1970~1981 집권), 호스니 무바라크(1981~2011 집권)가 그들이다.
이집트의 첫 자유민주 선거로 선출돼 집권 1년만에 쫓겨난 무슬림형제단의 무함마드 무르시(2012~2013 집권)가 유일한 민간 출신 대통령이다.
지난해 7월 무르시 전 대통령의 이슬람주의 정권 축출을 주도한 엘시시는 지금도 대중으로부터 숭배에 가까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집트는 지난 2011년 시민혁명을 통해 무바라크 정권을 퇴진시킨 이래로 끊임없는 정정불안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에서 엘시시는 국정을 다시 안정시킬 강력한 지도자이자 ‘구원자’로 여겨진다.
엘시시의 최대 저항 세력이자 무르시의 권력기반인 무슬림형제단은 이미 군부가 주도하는 과도정부의 무력 진압과 사법적 처벌 등으로 사실상 무력화된 상태다.
이런 맥락에서 엘시시는 당선되는 데는 최적의 조건에 놓여 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그가 시민혁명과 무르시 정권 축출을 거치면서 양 극단으로 분열된 이집트 사회를 다시 화합으로 이끌 적임자인지는 여전히 회의론이 인다.
이집트의 한 정치분석가는 25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엘시시는 대통령이 되고 나서 치안 확보를 명목으로 무슬림형제단을 계속해서 강경 탄압할 것”이라며 “이는 국가 통합을 더 어렵게 할 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집트가 경제 침체와 시나이반도 테러 세력의 발흥 등 각종 문제에 직면한 가운데 엘시시의 국정운영 능력이 거의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은 우려 대상으로 지적된다.
실제 엘시시는 무르시 축출 이후나 유세 기간이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책 비전 등을 거의 내놓지 않았다.
엘시시가 최근 언론에 발표한 ‘미래의 도시’ 청사진도 막대한 재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미래의 도시’ 계획은 이집트 사막 지대에 48개 신도시를 개발해 이집트의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게 주 내용이다.
엘시시는 이 외에 에너지 절감 노력의 하나로 모든 가정이 절전형 전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엘시시가 국론 통합과 실업·에너지난 등 민생 현안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 여론도 돌아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집트 정부가 발표한 실업률은 13.4%이지만 실제는 이보다 훨씬 높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군부에 등을 돌린 일부 싸늘한 민심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군부는 지난해 6월30일 무르시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시작될 때만 해도 국민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반정부 시위가 지속하던 와중에 엘시시가 그 다음달인 7월3일 무르시 축출을 공개 발표하자 이집트 국민 수십만 명은 카이로 민주화 성지 타흐리르 광장과 대통령궁 앞에 모여 군부를 지지했다.
그러나 군부가 지난해 8월 카이로 라바광장에서 시위대에 발포한 내용이 국내외 언론에 공개되면서 거센 후폭풍에 직면했다. 당시 무력진압으로 무르시 지지자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다. 국제앰네스티는 군경의 시위대 진압으로 지금까지 1천50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집트 야권 지도자 출신이자 전 부통령인 무함마드 엘바라데이도 지난해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초래한다”고 유혈 진압을 비판한 뒤 사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