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밤 KBS1 ‘수요기획’
세계에는 세월을 뛰어넘는 명지휘자들이 넘쳐난다. 그렇다면 세계에서 인정받는 동양인 지휘자는 얼마나 될까. 클래식이 서양에서 나온 음악인 만큼 역사가 짧은 동양에선 명지휘자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클래식의 본고장 동유럽에서 실력파 지휘자로 인정받는 동양인이 있다. 바로 한국인 지휘자 이영칠(40)이다.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 지휘자 이영칠.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그러나 화려한 성공에 가려진 의외의 이야기가 많다. 신동들로 넘쳐나는 클래식 세계에서 그는 엘리트 코스를 밟지 않았다. 19살이 되어서야 호른 연주를 통해 입문했던 것. 부모가 음악을 한 것도 아니었다. 아버지, 어머니의 권유를 받긴 했지만, 그가 호른을 시작한 데는 대학에 가기 위한 이유도 있었다.
그는 곧 두각을 나타내며 한국 최고의 호른 연주자로 떠올랐다. 그러던 어느 날 아무리 호른을 불어도 소리가 나지 않는 위기의 순간이 닥쳤다. 그때 운명처럼 그를 구원한 게 바로 지휘였다. 이때부터 그는 동양인에 대한 편견에 맞서 동유럽 10여개국에서 50여개 오케스트라를 섭렵하며, 4년 동안 300회가 넘는 공연으로 명성을 쌓았다. 이영칠은 또 지휘자의 권한을 십분 살려 한국의 창작곡과 연주자를 유럽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카메라는 그가 지난해 11월 소피아 필 하모닉을 이끌고 한국에서 지휘자로 데뷔 무대에 오르는 순간까지 쫓아간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1-0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