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내 아재당 전경.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산하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은 27일 경기도 파주 전통건축부재보존샌터에서 아재당 준공식을 열고 재건에 돌입한다. 한자 뜻 그대로 아재당은 ‘내가 있는 곳’이란 말로 대원군의 위세를 보여 준다. 본래는 조선시대 종실제군(宗室諸君) 관련 업무를 관장한 종친부에 있던 건물 명칭인데 이 건물은 1875년 이후 어느 시점에 사라졌고, 대원군이 쓴 아재당 현판은 운현궁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아재당은 1969년 운현궁 권역이 축소될 때 개인에게 매각돼 종로구 부암동 129-29번지로 이전됐다. 당시 쓴 상량문에는 “원래 이 집은 조선 말엽의 개혁파 대원군이 건축한 운현궁 중의 아재당을 개축하였던 것을 다시 이 자리에 이축한 것”으로 기록됐다.
‘주택설계도집’(1976)에 실린 아재당 전경. 문화재청 제공
아재당은 본채, 부속채, 사주문 등 3개 동으로 연면적은 168.95㎡다. 옛 부재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부암동 이전 당시 사진기록과 현존하는 운현궁 내 건물들을 조사하여 재건 계획을 수립하고, 비파괴조사와 적극적인 보수·보강을 수행했다. 재단은 이번 운현궁 아재당 재건을 통해 옛 전통건축부재를 활용한 전통건축 수리기술의 연구와 전승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