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정’ 상징...보유자, 보유단체 지정 안 해
예로부터 백일, 돌, 혼례, 제례 등 의례를 비롯해 설날, 정월대보름, 단오, 추석 등 주요 절기와 명절에 떡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한 해 마을의 안녕을 비는 마을신앙 의례, 별신굿 및 진오귀굿 등 각종 굿 의례에 올리기도 했다. 나눔과 배려, 정(情)을 주고받는 문화의 상징이자 공동체 구성원의 화합을 매개하는 특별한 음식으로 자리매김했다.
언제부터 떡을 만들어 먹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청동기와 철기 시대 유적에서 시루가 발견됐고 황해도 안악 3호분 벽화의 부엌에 시루가 그려진 점을 미루어 고대에도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추정한다. 역사서 ‘삼국사기’에서 떡을 뜻하는 글자인 ‘병’(餠)을 처음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말 서양식 식문화가 도입되면서 떡 만들기 문화도 일부 축소됐지만 다양한 떡이 지역별로 전승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떡 만들기가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무형 자산으로 오랫동안 이어지고, 여러 공동체가 전통지식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문화재로서 가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온 국민이 누리는 문화라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지정하지 않기로 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