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디자이너 황지해 ‘치유의 땅: 한국의 산’ 2023 첼시 플라워쇼 쇼가든 선정
2011·2012년에 이어 세 번째 쾌거
호반문화재단 10년 전부터 지원
황지해 작가
이 때문에 영국에서는 왕립원예협회(RHS)에서 주관하는 250년 전통의 ‘첼시 플라워쇼’라는 전 세계 최고·최대 규모의 원예 행사를 매년 5월 열고 있다. RHS는 2023년 첼시 플라워쇼 쇼가든 부문에 황지해 작가의 ‘치유의 땅: 한국의 산’이라는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영국 왕립원예협회에서 주관하는 2023년 첼시 플라워쇼 쇼가든 부문에 최종 선정된 황지해 작가의 작품 ‘치유의 땅: 한국의 산’의 조감도.
호반문화재단 제공
호반문화재단 제공
● 한국 대표 정원 디자이너로이후 황 작가는 2012년 네덜란드 벤로에서 열린 화훼박람회 플로리아드, 같은 해 열린 일본 가드닝월드컵에 한국 대표로 초청된 바 있다.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서 ‘갯지렁이 다니는 길’, ‘뻘 공연장’을 조성했고 지난해부터는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옥상의 원형정원 ‘달뿌리-느리고 빠른 대화’를 내년까지 전시하는 등 한국의 대표적인 정원 디자이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황 작가가 내년 런던 첼시 플라워쇼에서 전 세계인에게 선보일 작품 ‘치유의 땅: 한국의 산’은 지리산 동남쪽에 위치한 약초 군락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인간의 발길이 거의 없어 이름 없는 계곡과 원시림으로 가득한 모습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새롭게 인식된 자연의 소중함과 환경위기의 경각심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 약초 자생 산자락 선보일 계획황 작가는 이른 아침 햇살에 빛나는 약초들이 자생하는 고요한 산자락을 세계인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여기에는 채집한 약초를 건조하기 위해 약초꾼들이 만든 작지만 과학적인 원리들이 가득한 ‘건조장’도 연출된다. 다양한 식물 생장환경을 표현하기 위해 지리산 운봉에서 처음 발견된 ‘모데미풀’, 붉은 보랏빛이 강한 지리산에만 있는 ‘지리터리풀’, 사라졌다가 다시 찾아온 ‘남바람꽃’, 천고지 이상에서만 자생하는 ‘천삼’, 고지대에서 군락을 이룬 ‘오미자’, 계곡 주변에서 식생하는 ‘세뿔투구꽃’, 노각나무, 지리괴불나무, 지리바꽃, 나도승마, 남바람꽃, 지리고들빼기, 지리산개별꽃, 참바위취, 지리강활, 지리 금마타리, 매미꽃 등 자생종과 특산종을 정원에 도입해 한국 고유의 이야기를 담겠다는 이야기이다.
대중친화적이고 감각적인 전시기획을 통해 예술전도사 역할을 해 온 호반문화재단은 2012년 첼시 플라워쇼에서 황 작가의 DMZ 정원을 후원해 금메달과 최고상인 회장상을 탈 수 있도록 도운 바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탄소중립, 기후환경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한국 정원을 통해 일깨우고 지속가능한 예술과 자연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이다.
2022-10-2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