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혜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센터장
“3차 한류, 수요자가 주도하는 수평적 구조…日과 함께 콘텐츠 만들어야 실패율 낮다”황선혜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비즈니스센터장
지난 10일 주일한국문화원 개원 40주년 행사 취재차 일본 도쿄 신주쿠 코리아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난 황선혜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비즈니스센터장은 “과거와 달리 요즘 한류를 즐기는 일본의 10, 20대는 한국과 일본을 정치적으로 인식하지 않아 3차 한류 팬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 센터장은 “과거 배용준이나 케이팝 스타를 좋아하듯 사람에 관심을 두는 게 아니라 1020세대가 상품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라며 “음식, 화장품, 한국 스타일도 한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황 센터장은 특히 한류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방식에서 일본과 손을 잡으면서 성공한 사례를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엠넷 운영사인 CJ ENM과 일본의 요시모토 흥업이 ‘프로듀스101 재팬’을 선보인 일이라든가 JYP엔터테인먼트에서 일본 소니뮤직과 함께 만든 ‘걸스 그룹 프로젝트’ 등이 이런 사례다.
그는 이와 관련, “1, 2차 한류가 한국 드라마, 음악을 공급하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수직적 구조를 보였다면, 지금의 3차 한류는 수요자가 주도하는 수평적 구조임을 특히 주목해야 한다”며 “완벽한 것을 만들어 ‘사세요’ 하는 시대는 이제 갔다. 일본과 함께해야 제3차 한류 열풍을 이어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도쿄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5-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