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월평균 지출액 132만원 기준
돈 모으는 동안 집값은 안 올라야 가능
소방사 4호봉인 김씨가 현재의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을 때 서울 아파트 매수까지 2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올 4월 서울 지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인 9억 1160만원을 기준으로 추산한 경우다.
김씨가 통계청의 ‘2020년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라 1인 가구 월평균 소비 지출 금액인 132만원을 매달 쓴다고 가정하면 내 집 마련에 필요한 시간은 31년으로 길어진다. 김씨가 최소 61세가 돼야 서울의 아파트에 입성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모든 계산도 서울 집값이 현재보다 더이상 오르지 않는 걸 전제할 때 가능하다. 대기업 직장인의 근로소득만으로도 감당하기 어려운 서울 집값을 10년 평균 인상률이 3% 정도에 그치는 공무원 보수로 마련하기 쉽지 않은 현실이다. 김씨는 6일 “서울에서 아파트를 사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는 현실을 체감한다”며 “30대는 집 사기가 더 어려워진 세대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원중 부동산학 박사는 “소방관의 주거 불안정과 장거리 통근 문제는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나 안전과도 연결된다”며 “공공임대주택 제도 등을 활용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 필수 인력만이라도 직주근접을 개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
2021-06-0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