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도부가 안보 강화를 위한 제언을 쏟아 내고 있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해병대와 특전사를 통합해 10만 병력의 ‘해병특전사령부’를 창설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현재 북한에는 20만명 이상의 특수부대 요원이 있지만, 우리의 특수전 부대는 3만명에 불과하다.”며 2002년 대선 때 한나라당 공약으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 및 4군 체제로의 전환을 제시했었다고 소개했다. 홍 최고위원은 “당시 우리가 집권을 못해 실행되지 못했고, 지난해 국회 국방위원으로 있으면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과 4군체제를 제안했지만, 육군과 해군이 반대했다.”고 덧붙였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북한의 기습침투에 대비해 서해 5도 주변의 무인도인 우도에 즉시 전력을 증강할 것을 요구했다. 정 최고위원은 “우도는 북한의 기습침투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9㎞, 북한 함박도에서 8㎞ 떨어졌다.”면서 “우도는 인천과 서해 5도 사이에서 유격수 역할을 하는 전략적 요충지인데, 여기에는 전투 병력 1개 중대만이 개인화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안상수 대표는 최근 자신이 제안한 당 국가안보점검특위 위원장으로 국방장관을 지낸 김장수 의원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애초에는 안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맡으려 했으나, 최근 불거진 ‘보온병 포탄 오인 해프닝’ 때문에 김 의원을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는 “특위에서 서해 5도를 최강의 전력을 갖춘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도록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홍준표 최고위원은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해병대와 특전사를 통합해 10만 병력의 ‘해병특전사령부’를 창설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현재 북한에는 20만명 이상의 특수부대 요원이 있지만, 우리의 특수전 부대는 3만명에 불과하다.”며 2002년 대선 때 한나라당 공약으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 및 4군 체제로의 전환을 제시했었다고 소개했다. 홍 최고위원은 “당시 우리가 집권을 못해 실행되지 못했고, 지난해 국회 국방위원으로 있으면서 해병특전사령부 창설과 4군체제를 제안했지만, 육군과 해군이 반대했다.”고 덧붙였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북한의 기습침투에 대비해 서해 5도 주변의 무인도인 우도에 즉시 전력을 증강할 것을 요구했다. 정 최고위원은 “우도는 북한의 기습침투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 9㎞, 북한 함박도에서 8㎞ 떨어졌다.”면서 “우도는 인천과 서해 5도 사이에서 유격수 역할을 하는 전략적 요충지인데, 여기에는 전투 병력 1개 중대만이 개인화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안상수 대표는 최근 자신이 제안한 당 국가안보점검특위 위원장으로 국방장관을 지낸 김장수 의원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애초에는 안 대표가 직접 위원장을 맡으려 했으나, 최근 불거진 ‘보온병 포탄 오인 해프닝’ 때문에 김 의원을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는 “특위에서 서해 5도를 최강의 전력을 갖춘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도록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0-12-0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