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윤석열 대통령 美 ‘워싱턴 선언’ 이행 평가
“김정은 겁주기보다 한국 안심시키는데 효과”
22일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서 미국 해군의 원자력추진 순항미사일 잠수함(SSGN) ‘미시건함’이 출항하고 있다. 지난 16일 부산에 입항한 미시건함은 한국 해군과 연합특수전훈련 등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023.6.22 연합뉴스
미국이 40년 만에 한국에 최대 규모의 오하이오급 핵탄두 탑재 잠수함(SSBN·전략핵잠수함)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한국에 오는 잠수함은 수천㎞ 떨어진 목표물을 겨냥해 핵탄두를 발사할 수 있는 오하이오급 핵잠수함으로 일명 ‘부머’(boomer)로 불린다.
무기한 잠항이 가능한데다 수개월 연속으로 순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미 해군 최강 전력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미국과 한국의 당국자들은 핵탄두로 무장된 잠수항의 기항 시기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미 해군이 운영하는 핵 추진 잠수함은 크게 ‘SSBN’과 ‘SSGN’으로 나뉜다. 오하이오급 SSBN은 현재 미국이 유일하게 운용 중인 전략핵잠수함으로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트라이던트2 탄도미사일이 한 척당 24기가 실린다.
오하이오급 SSBN에 장착된 미사일 전체의 위력은 제2차 세계대전 말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 1600발에 버금가며, 사거리도 최장 1만 2000㎞에 달한다.
이번 전략핵잠수함 파견 계획은 미 해군의 원자력 추진 순항미사일 잠수함(SSGN) ‘미시건함’이 이달 16일 부산에 입항해 한국 해군과 연합 특수작전을 진행한 지 2주 만에 전해진 것이다.
WSJ은 미국이 이번에 최대 규모의 전략핵잠수함을 파견하는 것은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합의한 ‘워싱턴 선언’의 첫 실질적 성과라고 평가했다.
지난 4월 미국을 방문한 윤 대통령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한국이 자체 핵무장을 하지 않겠다는 비확산 의지를 천명했고, 미국은 이에 대한 대가로 한국에 핵잠수함, B-52 폭격기 등 전략 자산을 파견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다만 이번 전략햄잠수함 파견은 북한을 억제하고 동맹인 한국을 안심시키기 위한 차원으로, 김정은을 겁주기보다는 한국을 안심시키는 데 더 성공적일 수 있다고 WSJ는 보도했다.
미 SSBN이 한국을 방문하게 된다면 1981년 3월 로버트 리(SSBN 601) 이후 42년 만의 기항이 된다.
미국 해군의 핵 추진 순항미사일 잠수함(SSGN) ‘미시건함’이 16일 부산 작전기지에 입항하고 있다. 2023.6.16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