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 건수가 하루새 5건에서 9건으로 늘어나 이번 사태가 확산일로를 걷고 있다.
그러나 지난 2일 신고된 의심가축 가운데 안동을 벗어난 지역의 가축은 구제역 음성 판정을 받아 타 지역 확산 우려는 일단 덜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신고가 들어온 6건의 구제역 의심 가축을 정밀 조사한 결과 4건은 양성,2건은 음성으로 판정돼 지금까지 발생건수는 총 9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6건의 의심축 가운데 경북 안동의 구제역 첫 발생지에서 40여㎞ 떨어져 구제역 관리지역(발생지로부터 반경 10~20㎞) 바깥에 위치한 경북 청송의 한우농가 1곳의 소는 음성으로 밝혀져 ‘구제역이 타 시·군으로 확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다소 불식됐다.
도와 안동시는 구제역이 판정난 이후 발생지 농가를 비롯해 반경 3㎞ 안의 모든 우제류(소,돼지,사슴 등 발굽이 두개인 동물) 5만3천여마리에 대한 살처분 및 매몰을 실시해 지금까지 2만5천여마리를 완료했다.
또 공무원과 군인,민간인 등 연인원 870여명과 굴착기,덤프트럭,지게차 등 장비 180여대를 동원해 매몰처리를 했으며 1천300여명을 동원해 이동통제초소 120여곳을 운영 중이다.
도와 시는 공중수의사와 공무원으로 576개 공동방제단을 편성해 구제역 관련 1만7천여개 농장의 소독에 실시했다.
또 돼지와 소 등을 기르는 3만8천여 농장을 대상으로 의심가축이 추가로 발생하는지 살피는 예찰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북도는 이밖에 도내 가축시장 16곳을 당분간 휴장하도록 하고 발생지로부터 10㎞ 이내에 있는 안동의 한 도축장을 폐쇄 조치했다.
안동의 축산농가들은 “구제역이 발생한지 5일째를 맞는데 사태가 가라앉기는 커녕 점점 악화되고 있다”며 “기르던 가축을 살처분하는걸로 모자라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축산업 기반이 붕괴되는건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장원혁 도 축산경영과장은 “구제역 방역약품과 장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살처분용 약품을 추가로 마련해 현장으로 보냈다”며 “발생지역 3㎞ 내 위험지역에서 살처분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난 2일 신고된 의심가축 가운데 안동을 벗어난 지역의 가축은 구제역 음성 판정을 받아 타 지역 확산 우려는 일단 덜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신고가 들어온 6건의 구제역 의심 가축을 정밀 조사한 결과 4건은 양성,2건은 음성으로 판정돼 지금까지 발생건수는 총 9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6건의 의심축 가운데 경북 안동의 구제역 첫 발생지에서 40여㎞ 떨어져 구제역 관리지역(발생지로부터 반경 10~20㎞) 바깥에 위치한 경북 청송의 한우농가 1곳의 소는 음성으로 밝혀져 ‘구제역이 타 시·군으로 확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다소 불식됐다.
도와 안동시는 구제역이 판정난 이후 발생지 농가를 비롯해 반경 3㎞ 안의 모든 우제류(소,돼지,사슴 등 발굽이 두개인 동물) 5만3천여마리에 대한 살처분 및 매몰을 실시해 지금까지 2만5천여마리를 완료했다.
또 공무원과 군인,민간인 등 연인원 870여명과 굴착기,덤프트럭,지게차 등 장비 180여대를 동원해 매몰처리를 했으며 1천300여명을 동원해 이동통제초소 120여곳을 운영 중이다.
도와 시는 공중수의사와 공무원으로 576개 공동방제단을 편성해 구제역 관련 1만7천여개 농장의 소독에 실시했다.
또 돼지와 소 등을 기르는 3만8천여 농장을 대상으로 의심가축이 추가로 발생하는지 살피는 예찰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북도는 이밖에 도내 가축시장 16곳을 당분간 휴장하도록 하고 발생지로부터 10㎞ 이내에 있는 안동의 한 도축장을 폐쇄 조치했다.
안동의 축산농가들은 “구제역이 발생한지 5일째를 맞는데 사태가 가라앉기는 커녕 점점 악화되고 있다”며 “기르던 가축을 살처분하는걸로 모자라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축산업 기반이 붕괴되는건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장원혁 도 축산경영과장은 “구제역 방역약품과 장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살처분용 약품을 추가로 마련해 현장으로 보냈다”며 “발생지역 3㎞ 내 위험지역에서 살처분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