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육 환경 스마트기기 중독보다 순기능 커”

“스마트교육 환경 스마트기기 중독보다 순기능 커”

입력 2014-01-20 00:00
수정 2014-01-20 16: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종시교육청 ‘스마트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정책연구

스마트교육 환경이 스마트기기 중독 등 역기능보다는 동기유발, 수업 집중과 정보검색 및 활용, 의사소통 향상 등 순기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부터 세종시 모든 학교에서 스마트교육이 이뤄지는 데 따라 ‘스마트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책연구를 해 지난 17일 보고회를 했다.

세종시교육청은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간 세종시의 9개 학교(초등 4개교, 중등 2개교, 고등 3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 영역, 스마트교육의 역기능을 해소할 개선방안 등 광범위한 연구를 했다.

이번 연구 결과 당초 예상과 달리 스마트교육 환경이 스마트기기 중독을 부추길 정도로 신체·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고, 오히려 동기유발, 수업 집중과 정보검색 및 활용, 의사소통 향상 등의 순기능이 부각됐다.

그러나 사업 초기 정착단계에서 나타나는 스마트기기 안정성 문제, 교사들의 수업 준비시간 증가에 따른 업무 가중, 수업 콘텐츠 부족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됐다.

시교육청은 보고회에서 제시된 내용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저해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전우홍 교육감 권한대행은 “예·체능교육, 독서, 글씨쓰기, 정보통신윤리교육 등 다양한 감성체험교육을 확대,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해 스마트교육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