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상 언딘 대표 유착설 반박
“현장에 도착해 보니 해경과 해군 모두 ‘멘붕’ 상태나 다름없었습니다. 초유의 사태니 어쩔 줄 몰랐던 거죠.”세월호 실종자 수색 작업과 관련해 민간 구난업체 언딘마린인더스트리(언딘)와 해양경찰청(해경)의 유착설, 특혜 의혹 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언딘과 관련된 의혹이 불거지기 전 해경이 브리핑을 통해 “언딘은 국내 최고의 잠수업체”, “언딘의 수색·구조 실력이 해경보다 낫다”는 식의 발언을 거듭한 것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유착설에 불을 지폈다.
김윤상(47) 언딘 대표는 9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우리도) 해경이 왜 그런 식으로 발표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우린 한번도 나서서 발표한 적이 없다. 자꾸만 이상한 얘기가 나오니까 참으로 답답하다”고 말했다.
엄마의 마음으로 기도하는 여경
9일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 마련된 법당에서 한 여경이 세월호 참사 실종자의 빠른 수습을 기원하고 있다.
진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진도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김 대표는 “16일 현장으로 가는 길에 오후 2시 30분쯤 청해진해운 직원의 전화를 받았고 다음 날(17일) 오후 5시쯤 약식 계약서와 함께 (해경으로부터) 구난명령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선사 직원이 해경에 추천해 달라고 한 것 같다. 그 전에 해경에서 구난이나 구조 요청을 받은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언딘은 일찌감치 인양에서는 손을 뗐다”면서 “구조 작업이 끝나면 인양 입찰 공고가 나겠지만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애초에 (청해진해운과는) 금액도 적혀 있지 않고 보험사 검증도 거치지 않은 반쪽짜리 계약서였는데 협상을 조율해야 하는 해운조합 역시 20일이 넘도록 연락 한번 취해 오지 않았다”면서 “구난 계약에 관심이 없다는 의미로 지난주 실종자 가족들을 찾아뵙고 계약서를 넘겨드렸다”고 말했다. 또한 “무슨 혜택이 있어야 특혜라고 할 수 있는데 기름값이라도 나올지 걱정”이라면서 “민간 잠수부들의 숙식도 사비로 조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조 작업이 끝난 뒤 인양을 해외 업체가 하게 되면 시간과 비용이 훨씬 많이 들 수밖에 없다. 김 대표는 “구조 작업을 하면서 기록한 현장 정보가 많지만 우리가 인양에 참여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구조가 끝나면 손을 떼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해경과의 유착 근거로 지목된 한국해양구조협회 부총재직을 맡은 데 대해서는 “국내 구난업체들 대부분이 정직원 10명 넘는 곳이 거의 없을 만큼 영세한데 그나마 우리가 제일 크고 국제구난협회(ISU) 정회원이라는 대표성 때문에 (내가) 들어가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딘이 민간 잠수부들의 공적을 가로챘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김 대표는 “해경이 언딘에서 잘했다는 식으로 발표해 무리수를 뒀는데, 이 때문에 다른 민간 잠수사들이 마음 상한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도 명령에 따를 뿐 다른 잠수사를 막을 권리는 없다”고 덧붙였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5-1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