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대신 ‘중동 첫 개최론’ 통했다

‘한반도 평화’ 대신 ‘중동 첫 개최론’ 통했다

입력 2010-12-03 00:00
수정 2010-12-03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2022 월드컵 유치 실패

20년 만에 한반도에서 월드컵 재개최를 다짐하던 한국 축구의 꿈은 취리히호의 물안개처럼 허망하게 사라졌다.

한국은 3일 새벽 스위스 취리히의 메세첸트룸에서 끝난 2022년 월드컵축구대회 유치를 위한 개최지 선정 투표 결과 ‘복병’ 카타르에 져 탈락했다. 최선을 다했지만 결과는 두고두고 아쉬웠다. 요제프 블라터 회장을 비롯한 국제축구연맹(FIFA) 집행위원 22명의 비밀투표로 2일 밤 11시부터 시작된 선정 과정에서 한국은 1차 투표와 2차 투표에서 살아남아 세 나라가 겨루는 3차 투표까지 갔지만,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해 쓴잔을 들고 말았다. 1차에서는 호주가, 2차 투표에서는 일본이 떨어졌고, 최종 4차 투표는 미국과 카타르를 놓고 이뤄졌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일본, 호주, 카타르 등 5개국이 경합을 벌인 2022년 개최지 선정 투표 방식은 단 한 가지뿐. 22명의 집행위원 가운데 과반수인 12표 이상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 국가가 나오지 않을 경우 5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표를 얻은 나라가 탈락한다. 2차 투표부터도 동일한 방법으로 추린다. 개최지 선정을 놓고 워낙 경쟁이 치열했던 데다 당락을 둘러싼 소문까지 무성했던 터라 최종 4차 투표까지 갈 것으로 예상됐다. 예상은 들어맞았다. 한국은 호주와 일본을 따돌렸지만 2022년 월드컵의 주인은 결국 4차례의 투표 끝에 카타르로 돌아갔다. 지난해 8월 19일 창립총회를 열어 한승주 전 외무부장관을 유치위원장으로, 조중연 대한축구협회 회장과 송영식 전 2002년 월드컵유치위원장을 부위원장으로 선임한 뒤 활동을 시작한 한국 월드컵 유치위원회는 이로써 1년 3개월 만에 활동을 마치고 해산하게 됐다.

한국은 당초 FIFA에 제출한 유치 신청서에서 “축구를 통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의 달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2002년 대회 유치 당시에도 써먹었던 ‘평화론’은 다시 먹혀들지 않았다. 지난 1일 프레젠테이션에서 정몽준 FIFA 부회장이 “한국의 2022년 월드컵 개최는 한반도 주변 환경을 모두 바꿀 기회다.”라고 호소했지만 집행위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한승주 유치위원장도 “글로벌 축구펀드를 조성해 7억 7700만 달러를 투자할 것이다.”고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가며 유치를 당부했지만 중동 지역에서 첫 월드컵을 치르길 희망하는 카타르의 호소에 더 귀를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앞서 열린 2018년 대회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는 러시아가 네덜란드-벨기에, 스페인-포르투갈(이상 공동개최), 잉글랜드 등 3개팀 5개국을 제치고 깜짝 과반수 득표해 2014년 브라질대회에 이어 월드컵 바통을 이어받는 국가로 낙점됐다.

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2010-12-03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